발표1 | 초고령 사회에 대응하는 음악교육 | 한정란 (한서대 보건상담복지학과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노년, 음악으로 위로받다 | 김혜일 (꿈틀리인생학교 교장) | |
발표3 | 역동적 자기 혁신으로서의 노마드 사유와 웰에이징 평생교육 적용 사례 | 황혜영 (서원대 휴머니티 교양대학) | |
발표4 | 평생음악교육 해외 사례 | 강주현 (한국교원대) |
발표1 | 인공지능의 과거 현재 미래 | 김강석(아주대 사이버보안과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음악적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컴퓨팅 사고 | 최은식(건국대) | |
발표3 | 코딩을 활용한 음악 창작 수업 | 정다은(미사강변초) | |
발표4 | AI를 활용한 중학교 창작 수업 | 전상진(성수중) |
발표1 | 영유아 음악교육의 연구동향 | 이영애(한국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유아들의 음악하기를 통한 음악적 주체 되어가기 | 백지혜(계명대 유아교육과) | |
토론1 | 양소영(서울교대) | ||
발표3 | 미국 유아 음악교육의 실제: 달크로즈 유리드믹스를 중심으로 | 신혜은(숙명여대 특수대학원 예술교육학과) | |
발표4 | 놀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저학년 음악수업 | 김윤정(경기 성남신흥초) | |
토론2 | 이해심(서산 성연초) |
발표1 |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(음악과 교육과정)의바람직한 연계성 모색 | 권덕원(전 경인교대), 최은식(건국대), 승윤희(한국교원대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빅 아이디어 중심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성취기준 구성 방식 | 석문주(경인교대), 최미영(대구교대) | |
발표3 | 음악과 공통 교육과정에 대한 쟁점과 개선 방향 고찰 | 함희주(전 공주교대), 정진원(춘천교대), 강선영(서울 구암고) | |
발표4 | 해외사례분석을 통한 선택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방향 탐색 | 오지향(전남대), 정재은(서원대), 이수진(국민대) | |
토의주제 | 음악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에서의 문제점과 대안 | 박주만(이천 단월초), 김경화(서울 중흥초), 박은영(용인 백음고) |
[ 2월 18일 ] | |||
---|---|---|---|
기조연설 | Music Education in the Post-COVID-19 Era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음악교육 | 승윤희(한국교원대) | |
발표1 | Music Teaching and Learning in a Post-Pandemic World: Opportunities for Connectedness 포스트 팬데믹 세계에서의 음악교육: 연결의 기회 | Susan O’Neill Simon Fraser University, Canada |
|
발표2 | Music Education during Covid 19 – the English Experience 코로나19시대 영국의 음악교육 | Martin Fautley Birmingham City University, England | |
발표3 | Elementary School Teachers’ Music Clas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usic TPACK during the COVID-19 Pandemic in Korea 코로나 시기 한국 초등 교사의 음악수업 경험과 음악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 (TPACK)에 대한 인식 | 정진원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/ 최미영 대구교육대학교 교수 | |
발표4 | The Learning Compass in Music Subject Matter after the Pandemic팬데믹 이후 학교수준 음악교과 학습의 범위 | 이영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원 | |
발표5 | Case Presentation on Blended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room: The Project on International Promotional Video Production for ‘Pansori’ 블렌디드 국악 수업 사례 발표: ‘판소리’ 국제 홍보 영상 제작 프로젝트 | 김승연 계산여자중학교 교사 | |
[ 2월 19일 ] | |||
발표1 | Rethinking Music Education in the Age of COVID-19 코로나19 시기의 음악교육 재고하기 | James Frankel Digital Education for Wise Music, USA | |
발표2 | School Music Education in Hong Kong amid COVID-19 Pandemic: The Teachers’ Perspective COVID-19의 세계적 유행 속 교사들의 관점에서 본 홍콩의 학교음악교육 | Lee Cheng Anglia Ruskin University, UK | |
발표3 | Secondary School Teachers’ Music Clas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usic TPACK during the COVID-19 Pandemic in Korea 코로나 시기 한국 중등 교사의 음악수업 경험과 음악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(TPACK)에 대한 인식 | 최은식 건국대학교 교수 / 오지향 전남대학교 교수 | |
발표4 | Exploring Musical Self-Concepts and Musical Identities: Conversation with Korean Secondary Students about Their Daily Musical Lives 음악적 자기개념과 음악적 정체성 탐색: 한국 중등학생들의 일상 속 음악 생활에 관한 대화 | 정주연 이화여자대학교 조교수 | |
발표5 | Development of a Musical Problem Solving Model and Education Program Us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in Music 컴퓨팅 사고와 창의적 음악사고에 기반한 음악 문제해결 모형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| 조한이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생 | |
발표6 | A Case Study on Making Local Music Festival Using Metaverse Platform 'Gather Town’ 메타버스 플랫폼 ‘게더 타운’을 활용한 지역 음악축제 만들기 수업 사례 | 민지혜 신천고등학교 교사 / 지한비 경인고등학교 교사 / 홍성하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교사 |
발표1 | 졸탄 코다이(1882-1967)에게 묻는 세 가지 우리의 질문 | 양종모(부산교대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코다이 교수법 중학교 2학년 지도 적용사례 | 하명진(대전 만년중) | |
토론1 | 장지원(한국교원대) | ||
발표3 | 오르프 접근법의 교수적용 원리 | 이수진(국민대) | |
발표4 | 오르프 접근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즉흥연주 실천 사례 | 유소라(우면초, 서울교대 음악영재교육원) | |
토론2 | 장은석(대구교대부설초) |
발표1 | 음악교육: 개인적 경험인가? 사회적 실천인가? | 최은식(건국대학교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음악이란 무엇인가: 리머와 엘리엇의 관점에서 | 권덕원(전 경인교육대학교) | |
발표3 | 교육과정 접근: 포괄적 접근과 반성적 접근 | 석문주(경인교육대학교) 정진원(춘천교육대학교) 오지향(전남대학교) 최미영(대구교육대학교) |
발표1 | 5G 테크놀로지 시대의 블렌디드 음악 수업 | 최 은 식 (건국대학교), 정 재 은 (서원대학교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혼합형 학습을 통한 음악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안 : 국내 K대학 음악이론 교과목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|
안 소 영 (건국대학교) | |
토론1 | <혼합형 학습을 통한 음악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안>, <5G 테크놀로지 시대의 블렌디드 음악 수업>에 대한 토론 |
조 정 은 (조선대학교) | |
발표3 | e학습터를 통한 초등 음악 교과 원격 수업의 활용 | 김 지 혜 (인천 새봄초등학교) | |
발표4 | 온・오프 연계 기악 수업 사례 발표 | 강 의 진 (용인 이현중학교) | |
토론2 | ‘e학습터를 통한 초등 음악 교과 원격 수업의 활용’과 ‘온·오프 연계 기악 수업 사례 발표’에 관한 토론 |
조 혜 윤 (광주 운남고등학교) |
발표1 | 미래교육 비전을 바탕으로 조명한 과정중심평가의 방향 | 이현숙(건국대학교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음악교육에서의 과정 중심 평가 이해 | 권덕원(경인교육대학교) 석문주(경인교육대학교) |
|
발표3 | 초등수업사례 | 박주만(경기서당초등학교) | |
발표4 | 중등수업사례 | 박은영(용인백암고등학교) | |
종합토론 | 이영미(한국교육과정평가원) |
발표1 | 다문화적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적 접근 | 주미경(한양대학교 수학교육과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다문화 음악교육의 성립배경과 향후 과제 | 정진원(춘천교육대학교) 정주연(경인교육대학교) |
|
토론1 | 손민정(한국 교원대학교) | ||
발표3 | 음악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| 신혜경(숙명여자대학교) 최미영(대구교육대학교) |
|
발표4 | 초·중등 음악교과서에 제시된 다문화 학습내용 분석 | 오지향(전남대학교) 조혜윤(운남고등학교) |
|
토론2 | 박주만(경기서당초등학교) |
발표1 | 실용음악교육의 현황 | 양은주(명지전문대학교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외국 음악교과서의 실용음악 활용사례 | 함희주(공주교육대학교) 문경숙(공주교육대학교) |
|
발표3 |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대중음악 분석 | 양석원(세종과학고등학교) | |
발표4 | 중학교 음악수업 사례 | 남보라(광주중학교) | |
발표5 | 고등학교 음악수업 사례 | 강선영(서울구암고등학교) | |
발표6 | 이수진(한국교원대학교) |
발표1 | 뉴질랜드 음악과 교육과정 | 승윤희(한국교원대학교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미국 음악과 교육과정 | 정재은(서원대학교) | |
발표3 | 싱가포르 음악과 교육과정 | 신지혜(이화여자대학교) | |
발표4 | 영국 음악과 교육과정 | 문경숙(공주교육대학교) | |
발표5 | 호주 음악과 교육과정 | 윤문정(진주교육대학교) | |
종합토론 | 이연경(청주교육대학교) |
[ 1월 27일 ] | |||
---|---|---|---|
발표1 | The Strategy of Music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Culture and Society 문화와 사회의 발전을 위한 음악 교육의 전략 |
Doug-won Kw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/ President of AFME |
|
발표2 | Home Musical Experiences of Children across the World Insights for Music Education 세계 어린이들의 가정에서의 음악경험 : 음악교육을 위한 이해 | Beatriz Ilari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, Thornton School of Music, USA |
|
발표3 | The Application of Elementary School Music Subject Related SEL Program Applied by Structure-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교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|
Mi Young Choi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|
|
발표4 | Preparing Pre-Service Music Teachers to Teach Creating Music 예비음악교사들의 창작지도법 수업 경험 |
Hae-Kyung Shin Kyungnam University | |
발표5 | Music Teachers' Attitudes and Pedagogical Approaches to Using Popular Music 대중음악 교육에 대한 중등 음악교사들의 인식과 접근 | You Jin Kim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|
|
워크샵1 | Creating a Happy School with Chorus and A Cappella 노래가 흐르는 행복한 학교 만들기: 합창과 아카펠라로 여는 음악수업 | Betty Moon Yale Girls' Middle School |
|
[ 1월 27일 ] | |||
발표1 | A Study on Conception of Music-Creativity Teacher 음악 창의성 수업 담당교사의 인식 | Eunshik Choi Konkuk University |
|
발표2 | Engaging with Fusion in Music Education : Perspectives from Local Musicians in Singapore 음악 교육에서의 융합: 싱가포르의 지역 음악가의 관점 |
Chee-Hoo Lum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Singapore |
|
발표3 | Dilemma of Teaching Our Own and Others' Music beyond Eurocentrism and Ethnocentrism 유럽중심주의와 민족중심주의를 넘어 자 문화 음악과 타 문화 음악 가르치기의 딜레마 |
Koji Matsunobu Hong Kong Institute of Education |
|
발표4 | Popular Music Band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중음악밴드교육 |
Soojin Lee Ewha Womans University Joo Yeon Jung Ewha Womans University Jihae Shin Ewha Womans University |
|
발표5 | An Analysis of Community Music Organizations and Programs in the United Kingdom 영국의 커뮤니티 음악교육기관 사례분석 |
Joo Hyun Ka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|
|
워크샵2 | Korean Traditional Play based on Dan-Dong-Sip-Hoon 단동십훈을 활용한 우리나라 전래놀이 |
Hye Young Shin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|
발표1 | 국가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'음악의 생활화'의 방향에 대한 시사 | 석문주(경인교대) 오지향(전남대) 최미영(대구교대) |
|
---|---|---|---|
발표2 |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대비한 음악의 생활화 | 이영미(한국교육과정평가원) | |
발표3 | 생활화 교육을 위한 초중등학교 아카펠라 합창 활용 | 조홍기((사)한국코다이협회 대표) | |
발표4 | 초등 수업 사례: 우리 학교 홍보하기 | 양소영(서울신용산초) | |
발표5 | 중등 수업 사례 : 생활화 영역 음악수업 사례 | 박은영(용인원삼중) |
발표1 | 테크놀로지에 의한 작곡 개념의 확장 | 정순도(상명대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TBMI의 이론적 배경과 교수법적 기반 | 권덕원(경인교대) 석문주(경인교대) 정진원(춘천교대) |
|
발표3 |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음악 수업 사례: 초등 음악 수업 VR 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|
김유리(대구장산초) | |
발표4 |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음악수업 | 하은실(서울상계중) |
발표1 | 4차 산업혁명과 미래음악교육 | 권덕원(경인교대) | |
---|---|---|---|
발표2 | 20세기 음악교육의 역할 및 과제 | 함희주(공주교대) 승윤희(한국교원대) 정진원(춘천교대) |
|
발표3 | 음악교육과 공감능력 | 석문주(경인교대) 문경숙(공주교대) 최미영(대구교대) |
|
발표4 | Scratch를 활용한 음악코딩 수업 | 최은식(건국대) 오지향(전남대) 정재은(서원대) |
학회 계좌: 국민은행 483501-04-068970 [예금주: 오지향(미래음악교육학회)]